마산시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산시 (1950년 선거구)는 1949년 마산시로 개칭된 이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선거구이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권태욱이 당선되었고, 이후 자유당, 민주당, 민정당, 민주공화당, 신민당 후보들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거치면서 진해시·창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마산시·진해시·창원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산시 - 3·15 마산 의거
1960년 3월 15일,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맞서 마산 시민들이 일으킨 민주주의 운동인 3·15 마산 의거는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고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3·15 국립묘지가 조성되고 매년 3월 15일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 마산시 - 마산시 합포구
마산시 합포구는 1990년 마산시 구제 실시로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국회의원 선거구이기도 했으나 2000년 마산시 구제 폐지로 인해 폐지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마산시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마산시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남도 |
연도 | 1950년 |
폐지 | 1973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마산부 |
이후 선거구 | 마산시·진해시·창원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1949년 8월 15일, 마산부가 마산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산부 선거구가 마산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wikitext
1949년 8월 15일, 마산부가 마산시로 개칭됨에 따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기존의 마산부 선거구가 마산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이 선거구는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해시·창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마산시·진해시·창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되었다.
이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해시·창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마산시·진해시·창원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마산시 선거구의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무소속이나 자유당 후보가 당선되었으나(제2대, 제3대), 점차 민주당 계열 정당의 지지세가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제4대 총선(1958년)과 제5대 총선(1960년)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는데, 이는 당시 마산 지역의 민주화에 대한 높은 열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5·16 군사 정변 이후 치러진 제6대 총선(1963년)과 제7대 총선(1967년)에서는 각각 민정당과 민주공화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는 당시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정책에 대한 지역 사회의 기대와 지지가 일정 부분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제8대 총선(1971년)에서는 신민당 후보가 당선되어, 유신 체제를 향해 나아가던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마산 지역에서 다시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가 경상남도 마산시 선거구에서 치러졌다.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권태욱 | 무소속 | 5,499 | 18.80 |
김종규 | 무소속 | 3,705 | 12.66 |
이병진 | 무소속 | 3,244 | 11.09 |
손태조 | 무소속 | 2,635 | 9.01 |
하석진 | 무소속 | 2,432 | 8.31 |
박명제 | 무소속 | 2,251 | 7.69 |
정방호 | 무소속 | 1,707 | 5.83 |
황장오 | 민주국민당 | 1,624 | 5.55 |
송원도 | 대한노동당 | 1,490 | 5.09 |
김순정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17 | 3.13 |
강신동 | 무소속 | 807 | 2.75 |
한신광 | 대한부인회 | 737 | 2.52 |
허학 | 무소속 | 650 | 2.22 |
박경율 | 민보단 | 563 | 1.92 |
전지성 | 무소속 | 394 | 1.34 |
박광석 | 무소속 | 372 | 1.27 |
김치수 | 무소속 | 216 | 0.73 |
윤창윤 | 무소속 | 0 | 0 |
서상근 | 무소속 | 0 | 0 |
윤대원 | 무소속 | 0 | 0 |
손문기 | 무소속 | 0 | 0 |
박영도 | 무소속 | 0 | 0 |
안상이 | 무소속 | 0 | 0 |
선거 결과 무소속 권태욱 후보가 득표율 18.80%로 당선되었다.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신 | 자유당 | 17,372 | 39.99% |
허윤수 | 무소속 | 15,148 | 34.87% |
황장오 | 민주국민당 | 6,758 | 15.55% |
권태욱 | 무소속 | 2,439 | 5.61% |
서점용 | 무소속 | 693 | 1.59% |
윤시형 | 무소속 | 459 | 1.05% |
윤창권 | 무소속 | 295 | 0.67% |
강신동 | 무소속 | 276 | 0.63% |
합계 | 43,440표 |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마산시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마산시 선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정남규 | 민주당 | 16,043 | 31.99% | 당선 |
강선규 | 민주당 | 14,416 | 28.74% | |
서기홍 | 무소속 | 5,310 | 10.58% | |
노현섭 | 무소속 | 4,021 | 8.01% | |
민건식 | 무소속 | 3,159 | 6.29% | |
손성수 | 무소속 | 2,071 | 4.13% | |
조억제 | 사회대중당 | 1,863 | 3.71% | |
김성입 | 한국사회당 | 1,270 | 2.53% | |
윤시형 | 사회대중당 | 1,196 | 2.38% | |
권태욱 | 무소속 | 794 | 1.58% | |
합계 | 50,143표 | - | - |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wikitext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강선규 | 민정당 | 25,545 | 49.44 |
한태일 | 민주공화당 | 20,483 | 39.65 |
정남규 | 국민의당 | 2,292 | 4.43 |
황장오 | 민주당 | 2,135 | 4.13 |
손성수 | 자유민주당 | 1,204 | 2.33 |
합계 | 51,659표 |
4. 6.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wikitext